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폰트 정의

멀티미디어/폰트(Font)

by cepiloth 2017. 4. 29. 18:50

본문

728x90
반응형



 1. 폰트란?

 활자조판에 필요한 모든 글자, 숫자, 그리고 특수기호들을 포함한 동일한 크기와 모양의 한벌 전체를 말합니다. 이 말은 본래 'foundary(활자 주조소)'의 'found(녹이다. 주조하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폰트는 모든 글자들이 다른 글자에 대해 관계를 가질 때 구조적인 통일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가로획과 세로획의 무게와 두께는 통일되어야 하고 활자끼리의 시작적인 배열도 잘 조화되어야만 합니다. 동일한 폰트라면 조판면이 일정한 색조를 이룰 수 있도록 글자의 속과 글자 사이의 밝기와어두움의 영향에 대해 주의 깊게 다루어져야 합니다.


 한글에 있어서 가장 단순한 폰트의 구성을 첫닿자 19자, 홀자 21자, 받침닿자 27자를 합하여 총 67개로 이루어집니다. 여기에 숫자와 특수기호 75개를 합하면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142개로 구성된 폰트가 됩니다. 그러나 한글을 완성형으로 사용할 때는 특수기호를 포함시키지 않고도 2,300자 이상이 요구됩니다.


 2. 활자가족이란?

 - 활자가족(The Type Family)

 기준이 되는 부모 폰트( Parents Font)가 여러 모양으로 다양하게 변형됨으로써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여러 벌의 폰트를 활자가족( The Type Family)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비록 기준이 되는 폰트에서 변형된 것일지라도 개별적인 폰트로 간주됩니다. 한글에서의 활자가족은 이제까지 두께의 변화로 모양을 달리한 폰트들을 말할 때 쓰여왔습니다. 가장 즐겨쓰는 명조체는 일반적으로 세명조, 신명조, 중명조, 태명조, 견출명조라고 부르는 다섯 가지로 분류됩니다.


 - 유니버스 가족체(Univers Family)

 활자에 있어서 다양한 타이포그라피의 표현과 시각적인 대조는 활자의 주된 특성인 무게, 비례, 각도 등이 활자의 한 가족 안에서 종합적으로 표현될 때 그 차이점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차이점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활자가 유니버스 가족체입니다. 22개의 활자가족으로 구성된 유니버스 가족체는 'Adrian Frutiger'에 의해 디자인 되었습니다. 그는 일상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대신에 일관된 숫자체계를 도입하여 다양한 폰트들을 체계화 시켰습니다. 유니버스 55가 기준체인데 그 이유는 이 체의 획의 무게와 비례는 변형되어 나오는 다른 모든 폰트들에 대해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유니버스 55의 회색효과나 비례가 서적의 본문조판에서 가장 이상적입니다.


 유니버스체는 다른 활자에 비해 더 높은 x높이를 가진 것 때문에 유행이 되었던 활자입니다. 일반적인 폰트와 비교할 때 유니버스체의 소문자의 높이가 크기 때문에 대문자의 크기나 무게와 훨씬 비슷해졌습니다. 유니버스가족체에서 x높이, 대문자, 올림기둥, 내림기둥의 높이를 의도적으로 같게 디자인한 이유는 22종류의 폰트가 서로 제한받지 않고 얼마든지 혼합되어 조판될 수 있도록 무한한 가능성을 주기 위해서입니다. 이러한 배려는 디자이너에게 엄청난 융통성을 가져다 줍니다.


 3. 활자 관련 용어

 - 글리프(Glyph)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추상적인 그래픽 심볼이며, 이것은 어떤 특정의 글자 디자인에 독립적인 심볼을 의미합니다. 글리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최종 표현 형태를 뜻합니다.

폰트는 여러 글자가 모여 활자 한 벌을 이룬 것을 나타내지만 글리프는 글자 한 자를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낱자 글자꼴과는 관계없이 표현된 보통 글자 외의 기호, 로고타입, 아이콘, 글자의 구성 요소 등의 패턴도 글리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글자 너비(Character Width, Set Width)

 

 활자너비, 또는 자폭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글자 한 자가 인쇄 판짜기될 때 차지하는 너비를 말합니다. 이는 표기 방향선 상의 길이에 따릅니다.

글자너비에는 좌우여백을 포함합니다. 글자가 가지고 있는 기본 여백은 글자가 서로 만날 때 글자사이 공간을 이루며, 이는 왼쪽 여백과 오른쪽 여백이 있습니다.


 - 글자 여백(Side Bearing)

보통 글자는 까맣게 디자인된 글자꼴 주변에 일정한 여백을 가집니다. 이 때문에 글자너비는 물리적으로 칠해진 글자꼴 상하좌우에 이 약간의 여백을 더한 것이 됩니다. 바로 이것이 글자여백입니다.

 영문의 경우 글자여백의 수치가 음수(마이너스)로 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글자꼴의 일부가 글자너비의 범위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뜻합니다.


 - 고정 너비(Mono Space)

 한 폰트에서 글자너비를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는것을 말합니다.

네모틀 한글꼴의 경우가 이것이며, 영문타자기 글자도 이에 속합니다.


 - 비례 너비(Proportional Space)

 가변폭이라고도 부르며, 어떤 폰트의 경우 글자너비가 일정하지 않고, 그 디자인에 따라 글자마다 따로따로 글자너비가 다르게 디자인 된 것을 말합니다.

타자기 글자를 제외한 영문 폰트는 일반적으로 비례너비글자로 되어 있으며, 한글에서 탈네모틀류의 글자는 모두 비례너비글자로 되어 있습니다.


 - 글자 크기(Type Size)

글자의 크기, 일반적으로 글줄사이 0일 때, 첫 글줄의 기준선과 다음 글줄의 기준선까지의 거리 크기가 바로 글자크기입니다.

글자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 단위로는 현재 영미시의 포인트(1포인트=0.3514mm)와 일본식 급수(1급=0.25mm)가 있습니다.


 - 글자 몸통(Body)

 글자 한 자가 점유하는 사각형의 영역을 말합니다. 글자 진행 방향으로는 글자너비만큼, 글줄 보내기 쪽으로는 첫 기준선에서 다음 기준선까지의 거리가 갖는 사각형의 공간을 뜻합니다.


 - 커닝(Kerning)

어느 특정 글자의 조합만을 표준 너비보다 글자 보내기를 작게 하여 글자 사이를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표준 글자너비로 할 때 영문 대문자 'L' 다음에 'T'자가 오는 경우, 다른 글자들의 조합에 비해 글자사이가 더 넓게 보입니다. 이 때 이것을 시각적으로 고르게 보이게 하기 위해 'L'과 'T'의 사이를 좁힐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기술적으로 'L'이 가지는 글자너비를 작게 하면 됩니다. 소프트웨어상에서 글자사이 보정을 하려면, 미리 보정을 해야 하는 글자들의 조합과 보정치 데이터가 미리 주어져 있어야 합니다.


 - 속공간(Counter)

글자 속의 공간을 말합니다. 글자 줄기에 둘러싸인 비교적 넓은 공백 영역으로 열린 속공간과 닫힌 속공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글자 속공간이 크고 작음으로 해서 글자꼴의 시각적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며, 글자꼴이 주는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곧 한글의 경우, '이응'이나 '히읗'의 속공간이 보통보다 크면 글자의 느낌이 시원스러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바깥공간

글자 속공간에 상대되는 뜻으로 글자 바깥에 이루어지는 공간을 말합니다. 곧 글자 바깥 공간이 넓으면 글자는 작아보이고, 글자 바깥 공간을 작게 하면 글자는 커보이기 마련입니다.


 - 이음자(Ligature)

두 글자 또는 세 글자를 합하여 하나의 글자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영문자의 경우 'ff'. 'fi'등을 이어서 만든 것이나, 한글의 경우 세로줄기 하나를 생략한 '쌍비읍'자가 이에 속합니다.

자면(字面)

글자꼴에서 여백을 포함하지 않는 실제 인지되거나 표시되는 영역을 말합니다. 곧 이것은 활자꼴을 결정하는 것이 됩니다. 납활자에는 실제로 인쇄 잉크가 묻어 종이와 접촉하는 면을 말합니다.


 - 본문 활자(Text Types)

주로 문장 본문에 쓰이는 가독성이 높고 줄기가 가는 활자꼴을 말합니다. 본문활자는 오랜 시간에 의해 대개 가독성이 높고, 아름다우며, 독자의 기호에 적합한 것이 특징입니다.


 - 제목 활자(Display Types)

주로 제목이나 돋보임용으로 쓰이는 줄기의 표현이 강하거나 굵은 활자꼴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문장에서 독자의 주의를 금방 끌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 모양이 강하고 새로운 것이 많으며, 줄기의 굵기는 본문용 활자에 비해 굵은 것이 특징입니다. 대개 영문활자에서 제목활자 크기는 18포인트 이상을 말합니다.


 - 활자 무게(Type Weight)

활자가 가지는 시각적인 무거움과 가벼움에 대한 느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활자 무게는 활자 굵기의 개념을 포함합니다.


 - 활자 굵기(Type Boldness)

활자 줄기의 굵고 가늘음의 물리적 수치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 그림자 글자(Shadow Typeface)

그림자가 있는 시각 효과를 갖는 활자꼴을 말합니다.


 - 테두리 글자(Outline Typeface)

글자꼴의 획선에서 윤곽선만을 남기는 활자꼴을 말합니다.


 4. 활자의 측정 단위

 활잘의 측정 단위에는 유니트, 미터법, 포인트 그리고 엠크기가 있습니다.

(1) 유니트(unit):글자사이.백분율.%(100유니트시스템)

(2) 미터법(mm):글줄길이

(3) 포인트(point):글줄사이(leading). 글자크기

(4) 엠크기(em quad):낱말사이. 전각. 반각. 1/2각. 엔쿼드. 1/3각 등

1pt=0.35mm이며 1inch는 72pt. 컴퓨터에서 Q라는 단위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사진식자의 크기를 측정하던 방법으로 급이라고 합니다. 1급은 0.25mm로서 사진식자의 크기는 7급에서 100급까지입니다. 영문 위주로 만들어진 컴퓨터의 체계는 인치 단위를 베이스로 하였기 때문에 1인치의 1/10인 7pt부터 1인치 크기인 72pt크기가 기본으로 선택될 수 있는 크기입니다.


 5. 서체의 분류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서체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려는 많은 시도들은 서체가 지닌 시각적 특징이 중복되기 때문에 결코 쉬운 일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때문에 완벽한 서체 분류 체계는없고 다만 역사적 발달 과정에 근거한 일반적 분류 체계가 흔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이 체계에서는 모든 서체를 올드 스타일(Old Style), 트렌지셔널(Transitional), 모던(Morden), 이집션(Egyptian) 또는 슬라브 세리프(Slab Serif), 산세리프(Sans Serif), 그리고 디스플레이(Display)의 여섯 가지 범주로 분류됩니다.


 - 서체들의 시각적 특성

  a. 올드 스타일(Old Style)

획 굵기의 대비가 적음. 비스듬한 스트레스. 경사진 까치발 세리프. 표준적인 굵기.


  b. 트렌지셔널(Transitional)

획 굵기의 대비가 큰 편. 거의 수직에 가까운 스트레스. 날카롭고 조금 경사진 까치발 세리프.


  c. 모던(Morden)

굵기의 대비가 대단히 큼. 수직 스트레스. 매우 가느다란 세리프.


  d. 이집션(Egyptian)

획 굵기의 대비가 극히 적음. 스트레스가 거의 없음. 두껍고 사각진 세리프. x-높이가 높음.


  e. 산세리프(Sans Serif)

획 굵기의 대비가 약간 있음. 거의 수직에 가까운 스트레스. 수직과 수평으로 끝이 잘린 곡선획. 소문자 g의 꼬리가 열림.


  f. 디스플레이(Display)

일률적으로 평가할 수 없을 만큼 다양.


6. 비트맵 폰트란?

 스크린폰트(Screen font)라고도 합니다.네모난 점들로 이루어진 폰트입니다. 포스트스크립트 폰트의 화면 디스플레이에 필요합니다. 보통은 12포인트, 24포인트 등의 정해진 글자크기를 제작하고, 나머지 크기의 서체들은 깨진 상태로 나타나게 되지만 화면에 빠르게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레이져 프린터같은 포스트스크립트 지원용 프린터에서 "출력용폰트"에게 정보전달을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7. 트루타입 폰트란?

 애플사와 마이크로소프트사가 협력하여 만든 폰트기술로 화면과 프린터 출력상의 구현이 거의 비슷하게 이뤄집니다. 일반 잉크젯 프린터에서도 사용 될 수 있으며, 포스트스크립트 폰트처럼 꽤 양질의 출력물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다른 서체와 달리 화면상에서도 깨끗한 외곽선을 보여주므로, 일러스트레이터나 포토샵같은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저 등의 포스트스크립트 지원 프린터에선 용량이 커 출력이 빠르지 못하며, 화면 디스플레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윈도우에서의 폰트 확장자 파일은 TTF 이외에 FON, TTC파일등이 있습니다.

FON : 시스템 글꼴 파일

TTC : 트루타입 컬렉션 파일


 맥킨토시에서는 보통 시스템\한글시스템\자형폴더 에 TTF파일들이 들어있습니다.

간혹 용량에 넘치게 폰트를 넣어두고 사용하는 경우를 몇번 보았습니다.

OS 9까지는 한글을 512개밖에 쓰지 못합니다. 이것은 애플에서 한글영역으로 지정가능한 Font ID를 512개로 한정해 놓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 이상의 서체(TTF파일)를 자형폴더에 넣게(또는 설치하게)되면, 동일한FontID(Font를 구분해주는 값)가 생기게 되고, ID가 같은 서체는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OS X에 관해서는 더 알아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8. 포스트스크립트 폰트란?

 Adobe사에서 만든 포스트스크립트 서체 포맷으로 ATM, Type1,2,3,4 등의 종류 가 있습니다. 고품질의 출력을 할 수 있는 Type1, Type3 등의 포맷으로 프린터의 내장형 또는 외장형 폰트박스에 설치된 출력 전용 서체를 말합니다. 


9. 완성형 폰트와 조합형 폰트란?

 - 조합형

 조합형 한글. 초성, 중성, 종성을 각각 따로 디자인하고 조합하여 구현합니다. 즉 초성 'ㄱ'은 딱 한가지 모양뿐이며, 중성과 종성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제작 되어지기 때문에 완성형에 비해 상당히 제작기간이 단축됩니다. 모든 문자를 모두 구현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완성형에 비해 들쭉날쭉한 빨래줄 현상이 생기므로 "가독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 본문체로는 적합치 못한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주로 제목용 서체나 짧은 본문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 완성형

 완성형 한글, ('한','글','사','랑'..)등 완성된 글자 하나하나를 제작 하였습니다. '글' 과'랑' 의 'ㄹ' 의 모양을 살펴보면 글자의 크기, 모양이 조금씩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350자를 한자 한자 만들다보니 자연히 제작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섬세하게 제작 되어 조합형에 비해 "가독성"이 상당히 좋다고 볼 수있습니다. 그러나 완성형 폰트는 조합형에 비해 용량이 훨씬 크고 화일의 구조가 복잡하여 컴퓨터의 처리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폰트 프로그램

 폰트그라퍼(Fontographer)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서체제작 프로그램으로 툴사용법이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와 유사합니다.

 폰트매니아(Fontmania)

휴먼컴퓨터에서 개발한 국내 유일의 상용 프로그램인데 매킨토시 버전은 없고 윈도용만 있습니다.

 폰트랩(Fontlab)

서체개발 프로그램으로 유니코드가 지원됩니다.


10. 세리프와 산세리프의 차이점

 - 세리프(Serif)

 문자 가로획의 시작이나 끝부분에 붙어있는 장식. 세로기둥과 줄기의 끝부분에 맵시를 내거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붙인 획을 말합니다.

 - 산세리프(Sans Serif)

 'sans'는 프랑스어로 '없다'는 의미로, 산세리프는 세리프가 없는 문자를 말합니다. 한글의 경우 고딕체가 이에 해당합니다.


11. 자간/행간/포인트란?

 - 자간(Inter-Letter Spacing)

 글자와 글자사이의 간격을 말합니다. 서체의 크기가 클수록 자간도 어느정도 확보해야 좋습니다. 그러나 본문용으로 적용할 경우 넓은자간은 오히려 가독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적당한 자간을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자간을 고르게 하면 본문의 색감이 고르게 되는데, 여기서 색감이란 본문에 형성되는 전체적인 명암을 말합니다.이렇게 일관성있고 고른 색채는 가독성을 좋게 합니다.


 - 행간(Leading)

 글의 행과 행사이의 공간을 말하며, 적절 행간은 가독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예를들어 좁은행간은 글줄사이가 빽빽해 본문을 어두워 보이게 하고, 읽는 독자에게 상당한 피로를 주게 됩니다. 반대로, 간격이 지나치게 넓을때는 독자가 읽으면서 이 행에서 다음행으로 시선이 옮겨가는 동안 글을 읽는 흐름이 끊어질 수 있어 적당한 행간의 조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포인트(Point)

 타이포그라피를 위한 활자 계산법은 크게 알파벳을 위해 만들어진 포인트( Point)와 파이카( Pica), 히라가나와 카타카나 그리고 한자를 위해 사용되었던 호수, 세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한글은 사진식자기계 자판이 일본에서 제작, 한국에 보급된 것으로 인해 한자와 함께 급수체계를 사용하게 되었지만 전자출판 시스템이 보편화되면서 자연스럽게 포인트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포인트의 단위는 P 또는 Pt라고 쓰이며, 1point = 0.3514mm, 1mm = 2.847point 입니다.

728x90
반응형

'멀티미디어 > 폰트(Fo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CII CODE 표  (0) 2018.09.04
ASCII 제어 문자표  (0) 2018.09.04
BOM 이란?  (0) 2018.09.04
문자 집합 (문자 인코딩, SBCS, UCS, MBCS, UNICODE)  (0) 2018.09.04
TTF 와 OTF  (0) 2017.04.29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