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는 가상화폐로 3달 만에 3억 벌었다.

Developer

by cepiloth 2018. 9. 5. 11:04

본문

728x90
반응형


  • 가상화폐, 암호화폐 투자 관련하여 정보를 얻기 위해 책을 구매 하였으며, 책을 읽고 나서 독후감 작성 합니다.
  • "상기 포스팅은 절대 가상화폐 투자를 권장하는 글이 아니며 투자는 개인의 책임입니다. 또 한 상기책을 광고 하기 위한 용도는 아니며 지극히 책을 읽고 난 독후감 입니다.


  • 구매 및 독서 이유
    • 필자는 10 대 부터 한달에 2회 이상 서점을 방문한다.
    • 방문하는 이유는 블로그나 인터넷이 발달 하기전에는 현재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방문 하였다.
    •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고 부터는 현재 사회의 가십거리, 논쟁거리 등 사회적인 이슈가 되는 서적이 주로 베스트 셀러가 되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 주로가는 서적은 역시-_- 개발 관련이지만 가끔 경제학, 미술 분야의 책도 가끔 본다.
    • 최근에 방문시에는 경제학 분야의 책을 보고 있던 중, 베스트 셀러 코너에 해당 책이 있었다.
    • 보자 마자. 마구니가 껴서 바로 구매 하였다.


  • 가상 화폐 거래소를 이용하여 투자 하는 방법
    • 상기 책은 일반 투자자들이 가상 화폐를 투자하기 위한 거래소 기본 사용법이 적혀 있다.
    • 책 에서는 코비트라는 거래소로 설명이 되어 있으며, 주식 투자를 해본 사람들은 아무런 거부감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 하지만, 거래소는 코비트 외에 업비트, 빛썸, 바이넨스, 코인네스트 등 많은 거래소가 있으며 현재도 많은 신설 거래소들이 신설 되고 있다.
      • 신규 거래자(코린이)가 거래소 가입 부터 매수, 매도 방법에 대해서 쉽게 설명이 되어 있다.


  • 채굴기를 이용하여 투자하는 방법
    • 상기 책은 이더리움 채굴기에 대해서 설명이 되어 있으며 구매 방법 및 거래소를 이용하여 투자 했을 때 대비 이익 비교에 서술 되어 있다.
    • 채굴기를 실제 구매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클라우드 채굴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자세 한 내용은 책을 구매하여 읽는 것을 권장합니다.
      • 모든 코인은 시간이 지날 수록 채굴 난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 수록 일, 월별 채굴량은 적어 진다.


  • 주요 용어 정리
    • 책에서 설명하는 내용중 가장 알찬 내용으로 판단 했다.
    • 소프트 포크, 하드 포크, 로드맵, 메인넷 릴리즈, 쇼 케이스, 로드맵 발표 등 가상화폐 투자의 관련된 기본적인 호재에 대한 내용이 정리 되어 있다.
    • 필자가 쉽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소프트 포크 -> 버전 업데이트
        • Window 기준으로 XP Service Pack2 -> XP Service Pack3 업데이트라고 생각 하면 된다.
      • 하드 포크 -> OS 업데이트
        • Window 로 예를 들자면 Window 7 -> Window 10 으로 업데이트 한다고 생각 하면된다.
      • 메인넷 릴리즈
        • 제품을 공개 한다고 생각 하면 된다. Ex) Window 10 정식 판매 발표
      • 쇼 케이스
        • 제품 소개 정도 라고 생각하자.
      • 로드맵
        • 제품을 개발할 방향에 대한 발표라고 생각 하면 된다.
    • 하지만 개발자로써.. 이런 호재가 정말 호재 일까라는 의문은 남는다.


  • 결론
    1. 상기 책은 가상 화폐 거래를 입문 하는 사람에게 추천할 만한 책이다.
    2. 화폐 거래에 있어 거래소를 통한 거래와 채굴기를 이용한 거래의 장단점이 기술 되었다.
    3. 이더리움이라는 코인을 기준으로 설명 되어 있지만 책 저자도 "투자는 개인의 책임이다"를 강조한다.
    4. 가상화폐 거래 뿐만 아니라, 은행, 주식 거래 등 전반적인 투자의 원칙에 대해서 설명 되어 있다. 화폐는 믿음이다.
    5. 필자는 가상화폐 거래를 추천하지 않지만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에 관심을 갖는 것을 추천 한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